문제 링크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182
시간 제한 / 메모리 제한
2 초 | 256 MB |
문제
N개의 정수로 이루어진 수열이 있을 때, 크기가 양수인 부분수열 중에서 그 수열의 원소를 다 더한 값이 S가 되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정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N과 정수 S가 주어진다. (1 ≤ N ≤ 20, |S| ≤ 1,000,000) 둘째 줄에 N개의 정수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. 주어지는 정수의 절댓값은 100,000을 넘지 않는다.
출력
첫째 줄에 합이 S가 되는 부분수열의 개수를 출력한다.
예제 입력
5 0
-7 -3 -2 5 8
예제 출력
1
문제 풀이를 위해 생각한 것
- N이 20보다 작거나 같다. 완전 탐색도 충분히 가능하다.
- S와 같은 정수 하나도 부분 수열이 될 수 있음
- 부분 수열이 꼭 연속되는 수열이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아니었다.
- 조합을 통해서도 답을 구할 수 있다.
사용한 자료구조 / 알고리즘
배열 / 브루트포스
모든 인덱스를 확인하며, 해당 인덱스를 더한 수열과, 더하지 않은 수열을 가지치기 하듯 생성했다.
풀이 코드
n, s = map(int, input().split())
seq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cnt = 0
def recursion(idx, _sum):
global cnt
if idx == n:
return
_sum += seq[idx]
if _sum == s:
cnt += 1
recursion(idx + 1, _sum)
recursion(idx + 1, _sum - seq[idx])
recursion(0, 0)
print(cnt)
시간 복잡도 분석
O(2^N).
각 선택지마다 2개의 갈림길을 만들었다. 따라서 2의 N승 번의 연산을 수행하게 된다.
N이 20보다 작거나 같기에, 2^20 = 1,048,576으로 시간 제한은 충분히 통과할 수 있었다.
문제에서 중요한 부분
처음에 부분수열이라는 개념이 명확히 이해되지 않았었다. 연속적인 수만 부분수열이라고 생각했는데 아니었다. 수열에서 한 개 이상의 항을 고르기만 하면 됐다.
다른 블로그를 참고해 재귀적으로 답을 도출하는 법을 알아냈다.
참고자료
https://seongonion.tistory.com/98
'CS > Problem-solv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2667번 파이썬 (0) | 2022.05.05 |
---|---|
백준 1743번 파이썬 (0) | 2022.05.05 |
백준 2178번 파이썬 (0) | 2022.05.02 |
백준 11724번 파이썬 (0) | 2022.05.02 |
백준 1715번 파이썬 (0) | 2022.05.02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