블로그 이사🏡 했습니다. 👉🏻 둘러보기
본문 바로가기
  • What Get's You Here, Won't Get You There
CS/Problem-solving

백준 9012번 파이썬

by OMIN_ 2022. 4. 26.

문제 링크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9012

 

9012번: 괄호

괄호 문자열(Parenthesis String, PS)은 두 개의 괄호 기호인 ‘(’ 와 ‘)’ 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문자열이다. 그 중에서 괄호의 모양이 바르게 구성된 문자열을 올바른 괄호 문자열(Valid PS, VPS)이라고

www.acmicpc.net

 

시간 제한 / 메모리 제한

1 초 128 MB

 

문제

괄호 문자열(Parenthesis String, PS)은 두 개의 괄호 기호인 ‘(’ 와 ‘)’ 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문자열이다. 그 중에서 괄호의 모양이 바르게 구성된 문자열을 올바른 괄호 문자열(Valid PS, VPS)이라고 부른다. 한 쌍의 괄호 기호로 된 “( )” 문자열은 기본 VPS 이라고 부른다. 만일 x 가 VPS 라면 이것을 하나의 괄호에 넣은 새로운 문자열 “(x)”도 VPS 가 된다. 그리고 두 VPS x 와 y를 접합(concatenation)시킨 새로운 문자열 xy도 VPS 가 된다. 예를 들어 “(())()”와 “((()))” 는 VPS 이지만 “(()(”, “(())()))” , 그리고 “(()” 는 모두 VPS 가 아닌 문자열이다.

여러분은 입력으로 주어진 괄호 문자열이 VPS 인지 아닌지를 판단해서 그 결과를 YES 와 NO 로 나타내어야 한다.

 

입력

입력 데이터는 표준 입력을 사용한다. 입력은 T개의 테스트 데이터로 주어진다. 입력의 첫 번째 줄에는 입력 데이터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 T가 주어진다. 각 테스트 데이터의 첫째 줄에는 괄호 문자열이 한 줄에 주어진다. 하나의 괄호 문자열의 길이는 2 이상 50 이하이다. 

출력

출력은 표준 출력을 사용한다. 만일 입력 괄호 문자열이 올바른 괄호 문자열(VPS)이면 “YES”, 아니면 “NO”를 한 줄에 하나씩 차례대로 출력해야 한다. 

예제 입력

6
(())())
(((()())()
(()())((()))
((()()(()))(((())))()
()()()()(()()())()
(()((())()(

예제 출력

NO
NO
YES
NO
YES
NO
 

풀이 코드

t = int(input())
for _ in range(t):
    stk = []
    s = input()
    isVPS = True

    for ch in s:
        if ch == '(':
            stk.append('(')
        if ch == ')':
            if stk:
                stk.pop()
            elif not stk:
                isVPS = False
                break
    if not stk and isVPS:
        print('YES')
    elif stk or not isVPS:
        print('NO')

가장 유명한 스택 활용 문제인 괄호 검사.

파이썬에서 스택 자료구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list의 append()와 pop() 연산을 사용한다. 마지막 원소의 pop, append는 시간복잡도가 O(1)이다

파이썬 list pop, append 시간복잡도

문자열을 한 글자씩 검사해서 여는 괄호이면 스택에 넣고, 닫는 괄호이면 스택을 pop()한다. 이때 pop()할 원소가 없다면 열지도 않은 괄호를 닫은 것이기에 불리언 값을 False로 초기화하고 반복문을 탈출한다. 또 모든 검사가 끝났을 때 스택에 원소가 남아있으면 여는 괄호가 모두 닫히지 않은 것이기에 False로 초기화한다. 스택에 원소가 없고 isVPS가 True이면 'YES'를, 그렇지 않으면 'NO'를 출력한다.

 

참고자료

https://wiki.python.org/moin/TimeComplexity

 

TimeComplexity - Python Wiki

This page documents the time-complexity (aka "Big O" or "Big Oh") of various operations in current CPython. Other Python implementations (or older or still-under development versions of CPython) may have slightly different performance characteristics. Howe

wiki.python.org

'CS > Problem-solv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백준 1835번 파이썬  (0) 2022.04.29
백준 2164번 파이썬  (0) 2022.04.26
백준 1145번 파이썬  (0) 2022.04.24
백준 18512번 파이썬  (0) 2022.04.24
백준 10448 파이썬  (0) 2022.04.24

댓글